미국 새 차 구매 - 코스트코 오토 프로그램 후기 (Costco Auto Program)

미국에서 새 차를 두 번 구매해봤다. 먼저 나는 새 차를 살 때, 11-12월 중에 제조사에서 좋은 딜을 내놓을 때 차를 구입했다. 예를 들면 APR 0%와 같이 이자가 없는 딜 말이다. 이와 함께 월말과 연말에 각 딜러십의 성과를 평가하기 때문에 이익이 조금 나더라도 딜러십에서 차를 팔려고 노력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연말에 딜러십 자체에서 그 딜러십 안의 딜러들의 성과를 평가한다. 차를 판 댓수와 제조사/SNS 리뷰를 바탕으로 평가를 하는데, 이런 이유로 딜러들이 자신의 리뷰를 상당히 신경쓰고 또한 차를 팔려고 노력을 한다. 즉, 딜러가 좋은 리뷰를 받기 위해 좋은 서비스와 딜을 줄 가능성이 높다. 


내가 처음 구매했던 차는 도요타에서 나오는 트럭으로 기나긴 협상과 끈질긴 노력을 바탕으로 좋은 가격에 좋은 조건을 받긴 했지만 다시는 새 차를 사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새 차를 사는 과정 자체에 지쳤었다. 당시 도요타 딜러십 두세 군데와 포드 딜러십 두세 군데를 오가며 견적을 받아 꽤 오랜 시간 동안 협상을 했었고, 결국 내가 원하는 조건과 가격을 제시한 도요타에서 트럭을 사게 됐다. 포드의 트럭과 도요타의 트럭 중 딱히 한 모델을 고집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렇게 진행을 했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이야기가 달랐다. 폭스바겐의 차를 구입했는데, 내가 원하는 제조사와 모델, 트림이 정해져있었다. 즉, 몇 안되는 폭스바겐 딜러십들 간의 가격 경쟁을 해야한다는 의미이고 협상의 위치에서 내가 약한 위치에 처한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고민한 끝에 코스트코 오토 프로그램을 사용하기로 했다. 그 이유는 최고의 딜을 받긴 어렵겠지만 (코스트코에서 딜러십으로 부터 커미션을 받을 것이기 때문에), 좋은 딜을 큰 노력과 시간을 쓰지 않고 받을 수 있지 않을가 해서였다. 그리고 이 작전이 어느정도 통했던 것 같다. 


코스트코 오토 프로그램 웹사이트에서 새 차 구매 절차를 시작했고, 웹사이트에서 내가 사는 지역의 딜러쉽 중에 어떤 딜러쉽이 이 프로그램에 가입되어 있는지 알려줬다. 이 딜러쉽의 한 딜러가 내게 연락을 줄거라고 했고, 기다리라고 해서 기다렸다. 그 동안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차의 가격과 딜러쉽 자체에서 제공할 수 있는 할인액을 먼저 확인했다. 그리고 다음날 한 딜러가 연락을 해왔고, 그 날 바로 딜러십에 가서 단 2시간 만에 모든 절차를 마치고 차를 가지고 집에 왔다.


내 작전은 간단했다. 딜러쉽 웹사이트에서 딜러쉽이 광고하고 있는 할인액, 코스트코 오토 프로그램의 할인액, 그리고 제조사의 딜을 모두 받는 작전이었다. 이 세가지 할인과 딜을 모두 받으면 자연스럽게 아주 좋은 딜이 성립한다. 물론 처음 이 세가지를 모두 주지  않으려고 했다. 하지만, 이 세가지는 모두 정당하게 받을 수 있는 것이므로 잘 이야기해서 결국 받을 수 있었다. 주의할점은 딜러십에서 여러가지 수수료를 붙여서 가격을 더 받으려고 한다는걸 미리 알고 있었기에 차 가격을 협상하기 앞서 수수료들을 먼저 최소한의 가격으로 정리를 했다. 즉, 다른 꼼수를 쓰지 못하도록 꼼수를 쓸 수 있는 부분을 고정시킨 것이다. 그 후 위에 말한 세가지 협상을 했고, 나름 만족하는 가격과 조건으로 원하던 신차를 구매할 수 있었다.


온라인에 올라온 의견들을 보면 코스트코 오토 프로그램이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걸 알 수 있다. 내 의견은 코스트코 오토 프로그램을 그대로 따르기 보다는 코스트코 오토 프로그램의 할인액을 하나의 협상 카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나는 장점이 꽤 있는 유용한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국 포닥, 한국으로 돌아가는 이유? (Why do postdoc go back to Korea?)

외국인 (한국인) 미국 집 구입. 영주권, 시민권 필요없다.

미국 포닥 - 비지팅 포닥 VS 풀펀딩 포닥 (Visiting Scholar VS Postdoctoral Fel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