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있는 후배들에게 자주 듣는 질문이다. 미국으로 포닥을 나오기도 힘든데, 나와서 미국의 정착 기회가 있는데도 왜 한국에 들어가 취업을 하냐는 것이다. 문듣 한국 박사 커뮤니티에서도 이런 종류의 글들을 많이 본 것 같다. 한국에 돌아가는게 나쁜 선택은 아니다 . 자신이 돌아가서 행복하고 꿈을 이루는 선택이라면 당연히 응원받아야하고 자랑스러운 선택이고 성취다. 가끔 왜 미국에 남는게 더 나은 거라는 막연한 의미의 질문을 받을 때, 대답하기 어려운 상황들이 있다. 그래서 질문의 의미를 좁혀 " 미국에 남고 싶은데 왜 한국에 돌아가나요 " 로 바꿔야 할 듯 싶다. 나도 처음 포닥을 나올 때 생각해보니 포닥을 오래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4~5년 정도. 생각해보면 그 당시에 한국에서 대학원생 월급을 받을 때였고, 포닥 계약을 처음 했을 당시에 1년에 5만불 정도로 계약을 했으니 당연히 부유한 포닥 생활이 될거라고 착각 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세금을 떼고 생활을 하면 그렇지 않다는걸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포닥은 오래하면 오래할수록 자신의 경력에 좋지 않다는 것을 일찍 깨닫는게 중요하다 . 나 같은 경우에는 지도 교수님이 말씀해주셔서 알 수 있었지만 한국에서 해외 포닥을 좋게 보기 때문에 막연히 오래 포닥을 하면 좋은 경력을 많이 쌓는 다는 착각을 할 수 있다. 포닥의 올바른 인식은 나머지 공부와 같은 것이다. 박사 과정 때에 충분히 유능하고 운이 좋았다면 포닥 없이 좋은 직업을 구할 수 있었을 것이고, 그렇지 못해 포닥을 시작했다면 짧게 포닥을 하고 좋은 직업을 구하는 것이 유능한 포닥의 표시가 될 것이다. 오래 포닥을 하는 것은 경쟁력이 없어서 오래 포닥을 하고 여기저기 찔러 보지만 만족할 만한 직업을 구하지 못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대부분 이다. 즉, 다시 말해 미국에서 포닥을 오래 하면 오래 할 수록 미국에 자리잡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미국 회사에서는 포닥을 오래하는 걸 매우 꺼려하고, 미국 학교에
포닥을 지원하실 때가 되면 제일 많이 걱정이 되는 부분이 바로 펀딩입니다. 풀펀딩을 받는 것이 무조건 좋아보이고, 펀드를 한국에서 들고 가는 경우 안좋게 생각이 드는 부분이 있는데요. 제가 미국에 와서 포닥을 하면서 느낀 점은 꼭 그렇지는 않다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에 대해 기록을 해보려고 합니다. 테크니컬하게 펀드를 미국에서 받는 경우와 한국에서 들고오는 경우 어떤 차이가 있는지 먼저 설명을 하겠습니다. 미국에서는 일을 시키려면 보수를 줘야하고, 보수를 받지 않고 일을 시키게 되면 법적으로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즉, 펀드를 한국에서 가져오게 되면 학교에서 행정적으로 봤을 때, 일을 하지 않는 것이 됩니다. 그래서 펀드를 들고오는 연구원들을 Visiting Scholar라는 Title을 주게되고 보험이나 연금 등 학교에서 어떠한 혜택도 해주지 않습니다. 반면, 법적으로 1주일에 40 시간 이상 일을 하는 근로자를 Full-time 근로자로 분류하게 되고 40 시간 이상 일을 하는 근로자에게는 무조건 보험과 연금 및 Full-time에 맞는 혜택을 해줘야 합니다. 그래서 펀드를 미국에서 받는 경우, 월급이 그 학교 시스템을 통해 입금이 되므로 1주일에 40시간 일을 하는 근로자로 분류가 되서 Postdoctoral Fellow라는 Title과 함께 보험 및 연금 등 혜택이 주어지게 됩니다. 이런 혜택과 별개로 한국에서 펀드를 가져오는 경우, 학교에서 월급을 주지 않으므로 학교에서 사회보장번호(Social Security Number)를 발급하는 절차를 도와주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로 보면 주민등록번호와 비슷한 개념인데요. SSN이 없기 때문에 은행을 개설하거나 집을 구하는 등 여러가지로 생활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됩니다. 미국에서 월급을 받게 되면 세금 신고 및 여러가지로 SSN이 필요해서 학교 및 이민국에서 자동으로 이를 발급할 수 있도록 해줘서 미국에서 생활하는데 훨씬 편합니다. 이런 생활의 측면 외에, 한국에서 펀드를 받아서 오는 경우 미국으로 이민을
미국 포닥은 근본적으로 하는 일은 같지만 명칭이 다른 경우가 있다. 질문을 많이 받는데, 이에 대해 기록 한다. 먼저 Visiting Scholar와 Postdoctoral Fellow에 관해서는 이전에 쓴 글(아래 링크)이 있으니 참조하면 좋을 듯 하다. https://joseph-forest.blogspot.com/2019/12/vs-visiting-scholar-vs-postdoctoral.html 그럼 이제 나머지에 대해 정리를 하자면, 신입 박사의 경우 Postdoctoral Fellow로 시작을 한다. 그리고 경력이 쌓이고 3~4년차 지나면 Research Associate으로 승격이 가능하고, 경력이 6~7년차가 되면 Research Scientist가 된다. 이에 따라 학교에서 정해놓은 최저 월급이 다르므로 당연히 월급도 오르게 되고 전반적인 대우도 좋아진다. 물론 주 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주립대의 경우에 이런 것들이 학교 법으로 정해져 있어서 지도 교수님이 싫든 좋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승격이 되고 좋은 대우를 받게 된다. 하지만 사립대는 학교 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10년 넘게 포닥을 해도 계속 Postdoctoral Fellow 명칭에 $48,000을 주며 10년을 데리고 있는 지도 교수님이 있는가 하면, 2년 지났는데 Research Associate으로 바꿔주는 경우도 있다. 10년 간 이력서에 아무 변화 없이 Postdoctoral Fellow로 있었다면 참 좋지 않은 경우라고 할 수 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Research Associate, Research Scientist로 승격이 되면 Overhead가 늘어난다고 한다. 그래서 지도교수님이 같은 월급을 주더라도 Overhead로 학교에 지불해야 되는 돈을 늘어나서 10년이 넘게 승격 시켜주지 않았던 것이다. 즉, 사립대의 경우 100% 지도교수님의 권한이다. 그러면 Research Professor는 무엇일가. 내가 아는 한도에서 이것도 포닥과
댓글
댓글 쓰기